시흥시 자원순환과 무단투기단속반 환경미화원 장준석·이상민 반장 이상민(왼쪽) 반장과 장준석 반장. 김형수기자 “저희 손길로 도시가 깨끗해지는 보람만큼 기쁜 건 없죠.”
동도 트지 않은 어스름한 오전 5시20분. 아직 잠든 도시에는 적막이 흐르지만 거리와 골목길 곳곳에 분주한 발걸음과 가쁜 숨소리로 아침을 여는 이들이 있다.
시흥시 17개 동의 거리를 깨끗하게 만들고 있는 18년 차 환경미화원 장준석(54)·이상민 반장(47)은 오늘도 구슬땀을 흘리며 나아간다.
시흥시의 하루는 이들의 손끝에서 시작된다. 출근과 동시에 전날 접수된 민원을 살피고 담당 구역별 작업 계획을 세운다. 동료 간 컨디션을 확인하는 것도 필수. 바로 작업에 돌입한다. 구불구불한 골목길부터 쭉 뻗은 대로변까지 곳곳을 돌며 청소하고 쓰레기를 치우는 이들의 노고 덕분에 시흥의 거리는 매일 아침 반짝반짝 빛난다.
2인1조로 호흡을 맞추며 손발이 착착 맞는 장준석·이상민 반장의 업무는 거리 청소부터 쓰레기 수거 외에도 이동식 폐쇄 회로(CC)TV 관리, 무단투기 현장 확인 및 올바른 쓰레기 배출 홍보까지 활동 폭이 넓다.
시 자원순환과와 소통하고 협력하며 현장 점검부터 즉각적인 민원 대응에 나서는 이들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무단투기 예방 활동’이다. 예전보다 시민 의식이 개선됐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쓰레기 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장 반장은 “매년 시흥 곳곳에 외국인 주민이 늘어나면서 이들에게 올바른 쓰레기 배출 방법을 알려주는 게 중요해졌다. 앞으로 더 효과적인 홍보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은 자원순환과와 함께 늘 새로운 방법을 고민한다. 예산이 넉넉지 않은 상황에서 무단투기 문제를 해결하려면 다양한 접근이 필수다. 시는 이동식 CCTV를 설치하고 경고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게시하며 캠페인을 펼치는 여러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두 사람은 예산 절감을 위해 자원순환과와 협의해 공사장 폐자재를 활용해 무단투기금지구역을 표시하고 현수막을 걸어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다.
이들에게 가장 큰 고충은 민원 응대다. 장 반장은 “시민들이 사유지 내 폐기물은 토지주, 관리자 또는 점유자가 직접 치워야 하는데도 시 환경미화원에게 처리를 요구할 때가 가장 난감하다”고 말했다.
때론 폭언 등의 민원도 발생하지만 그럴 때는 부서와 협력해 안전하게 대응하는 편이라고. 이 반장은 “최대한 민원인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어느 정도 노하우가 쌓였다”며 밝게 웃었다.
그럼에도 이들이 서로 보폭을 맞추고 ‘깨끗한 시흥’이라는 일관된 목표를 향해 내달리는 이유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크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입을 모아 경기도에서 시흥시처럼 깨끗한 도시가 없을 거라고 자신했다.
특히 이들은 환경미화 업무는 ‘청소하는 일’을 넘어 시민들의 삶과 직결된 중요한 업무라고 여겼다. 거리가 깨끗하면 사람들이 더 깨끗하게 사용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이는 도시의 이미지 개선으로도 이어진다. 그런 변화를 직접 확인할 때 보람이 크다고 강조했다.
‘형님’, ‘아우’하며 서로에게 큰 힘을 실어주는 이들은 끈끈한 소통으로 위기를 극복하며 함께한다. 하루하루가 행복이라고 여기며 서로에게 밝은 기운을 북돋우는 이들의 노력은 시흥시 자원순환과에도 닿아 모두에게 좋은 시너지를 내고 있다. 이들은 “일도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고 소통이 공감으로 이어지면 업무적으로도 긍정적인 에너지를 발휘하게 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체력이 닿는 한 변함없이 시민들과 함께 깨끗한 시흥을 만들어 가겠다는 각오다. “저희를 잘 이끌어 주는 시흥시 자원순환과와 ‘항상 고생 많다’고 먼저 인사를 건네주는 시민들 덕에 힘이 난다”며 환한 미소를 보였다. 경기일보 |